부모가 된다는 건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해서 즐겁게 살 생각 도 잠시, 임신을 하고 부터는 아이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아이를 셋이나 낳았지만 왜 아이를 꼭 낳아야 하는가에 대해서 대답할 수는 없다. 가끔은 부정적일 때도 많다. 요즘은 더욱 힘들다. 새로운 환경이나 독일에 살고있는건 별로 문제가 없는것 같다. 임신해서 출산 그리고 아이들이 조금 클 때까지 손이 많이 가고 우리가 육체적으로 힘드니까 이 시기가 지나면 괜찮을 거라고 생각했다. 잠이라도 조금 더 자면 좋겠다는게 우리의 바램이었으니까… 그런데 육체적으로 사람을 만드는 건 이렇게 육체노동으로 가능하다지만 정신적으로 사람을 만드는 건 정신적인 노동을 필요로 한다. 끊임없이 고민하고 적절하게 움직여 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금새 길을 잃어버리기 마련이다. 부모의 하루하루를 그대로 보고 배우는 것도 큰 부담이다. 나 스스로가 완전하게 도덕적이거나 모범적이지 않은데 아이를 위해 이런 부분을 신경쓰다 보면 아이들을 위해 내 행동을 제한해야 하는 것에서 스트래스를 받거나 내가 이렇게 의식적으로 모범을 보여야 할 만큼 부족한 인간이라는 것에 또 스트래스를 받는다. 대부분의 경우 스트래스 만 받고 결국 똑같이 행동하지만…

완전한, 완벽한 부모는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나의 부족한 부분이 아이들한테 똑같이 보이면 너무 속상하고 미안하기도 하다. 또 결국 내가 책임져야 할 가족들인데 내가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다는 느낌도 있다.

하지만 나도 결국 사람, 그것도 불완전하고 어리게만 느껴지는 사람인데 가끔은 어디에 기대거나 아무 생각 없이 사라져 버리고 싶을 때도 있다.

결국 내가 향하는 곳은 정은이 옆인데 정은이 또한 힘든 상황에 있으니 서로를 위로할 여유는 찾아볼 수 없다. 우리는 그냥 기나긴 전쟁 중에 찾아온 잠깐의 정적 속에 지친 몸을 기대고 앉아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며 서로의 피곤함을 나누는게 전부다.

그래도 희망적이라면 하루하루 아주 조금씩 더 여유가 생기고 있다는 것과 부족한 우리를 마주하며 때로는 반성하고 때로는 깨닳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 있었다면 이런 생각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을것 같고 나중에 더 큰 문제로 우리는 고민해야 했을것 같다.

지난 주 어느 날 피아노가 배달 오는 날이라 늦게 출근을 했다. 지우와 호야는 학교와 유치원에 데려다 주고 다시 집으로 와 피아노를 받고 조립을 한 뒤 회사로 향했다. 우반 역까지 가는 짧은 거리에 정은이와 호야와 손을 잡고 걸었다. 처음으로 호야만 데리고 셋이 걸어본 거리.. 아이가 하나였다면 우린 좀 더 여유가 있었을 까? 잠시 생각해 봤지만 이내 말도 안되는 상상을 했다며 고개를 저어버렸다. 힘든건 힘든거고 행복한건 행복한거니까..힘들다고 행복하지 않은건 아니니까..

학교와 유치원에 매일 아이들을 데려다 주면서도 매일 쑥쑥 자라는 그 뒷모습을 보며, 지금이 힘들지만 그래도 이 시간이 조금 더 늦게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